3월8일 보고서~ CPU와 진법계산

2010. 3. 9. 08:582010년/3월


1.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처리

한번에처리하는. 장치 기타등등

CPU의 3요소


 ALU(Arithmetic logic unit) 산술논리장치


 Register(기억장치)


 control unit(제어장치)


 
 LED 반도체 필라멘트 트랜지스터

 TR - 트랜지스터

 IC - 집적회로

 LSI  - 고밀도집적회로

 VLSI - 초고밀도 집적회로
 
 Latch - 잠근다는 뜻으로 임시기억장치로 사용~! 1byte든지..

  Latch의 조금의 응용된 부분은 우리가 자세히알고 있는 플리플롭이나 집적회로이다.


프로그래머는 CPU에 명령을 내린다. 하지만  CPU가 알아듣는것은 기계어

우리간 만든 프로그램은 컴파일러로~  기계어로 변환


진법변환

1. 10진수에서 16진수로
   2진수를 통해서 하게되면 좀더 쉽다.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는 방법은 조금 유명하다.
   35를 2진수를 변경시
   35/2 = 17.1  
   17/2 =  8.1
    8/2 =  4.0
    4/2 =  2.0
    2/2 =  1.0
    밑에서 부터 위로
    100011(2) 이렇게 가능하다. 그리고 이걸
    10 / 0011 오른쪽에서 4자리씩 끊어서 1*2+ 0*1 / 0*8 + 0*4 + 1*2 1*1 해서
    23(16)가 나왔다.
    8진수  경우는 오른쪽에서 3자리씩 끊어서 곱해서 더해주면 된다.
    답은 43(8) 가 나온다. 


2. 2진수의소수점계산
   십진수 0.25를 다른 진수로 변경할시   조금은 틀리다. 정수부분은  나눗셈을 했지만
   소숫점부분은 곱셈을 해서 변경한다.
   0.25 * 2 = 0.5
   0.5  * 2 = 1.0
   이렇게해서 위에서부터 0.001(2) 가 완성된다.  10진수의 정수부분과 소숫점부분은
   반대로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0.001(2)를 10진수로 변경시에 0*1/2+ 0*1/4 + 1*8/1 로 소수점 자리는 2의 -X     만큼(X는소수점자리)로 점점 늘어나게된다. 
   0.001(2)를 8진수나 16진수로 변경시에 소수점을 기준으로 8진수는 421로 즉  0.1(8)이   며 16진수는  8421 0.0010 으로 해서 역시  0.2(16) 으로 된다.

 

주메모리 / 보조메모리

휘발성   / 비휘발성

주메모리와 보조메모리의 차이점은 전기적  문제와 가격 그리고 속도에 관해서 많이 나온다

특히 보조메모리는 보조메모리만의 가격대 효율성 보관 그리고 용량이 있고

주메모리는 가격은 비싸지만 속도가 좋다.  무엇보다 요즘은 보조메모리에서도 플래쉬 메모리 즉 우리가 쓰는 USB와 하드디스크 둘로 나뉜다.


0----100 == 100-0+1 101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