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26일 리눅스명령어/전역변수static
adduser : 유저를 만들때 사용하는 명령
cd (change directory) : 디렉토리(윈도우에선 폴더) 변경할때 사용
chmod (change mode) : 파일의 허가상태 변경
chown (change owner) : 파일 소유권 병경
cp (copy) : 복사
date : 현재시작 표시
echo : 표준출력에 문자열을 출력
exit : 작업종료
finger : 현재 로그인되어있는 사용자들의 인적사항출력
find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찾을때 사용
ftp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주고받을때 사용
file : 파일의 종류를 알아보는 명령어
gzip : 압축명령
gunzip : 압축해제명령
kill : 수행중인 프로세서를 죽인다
last : 최근 접속한 사용자의 이름과 장소, 시간 등을 알려주는 명령어
jobs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작업들의 작업번호, 작업상태등을 보여줌
lp : 프린트 명령
mail : 다른 사용자에게 편지 보내기
mkdir : 새로운 디렉토리(폴더) 만드는 명령
man : 명령어나 각종 자원들의 매뉴얼을 출력
more :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
mv : (예) mv a b -> a 파일을 b라는 이름으로 변경
passwd : 암호변경
rm (remove) : 삭제
rmdir (remove directory) : 디렉토리 삭제
shutdown : 컴터 끔
telnet : 네트웍상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한 명령어
time : 명령수행시간 측정
useradd : 사용자 넣기
userdel : 사용자 지우기
usermod : 사용자 권한주기
who : 로그인된 사용자 목록을 보여준다
compress : 압축
vi : 텍스트파일 편집하는 명령어
sort : 파일 정렬
sleep : 지정한 시간만큼 쉰다.
shutdown -h now : 당장 종료
shutdown -r now : 시스템을 리부팅하는 명령
sort -r 파일명 : 파일을 역순으로 정렬
cal 월 년 : 지정된 달의 달력출력
userdel -r 디렉토리명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까지 삭제
rm -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 삭제 명령
리눅스에서
ctrl +(F1~F6)
눌리게되면 가상컨트롤이 만들어지고
ctrl+F7을 눌리면 X-window가 실행된다.
OS에서 가장핵심이 되는 부분을
커널(Kernel)이라고 한다. 일반사용자는 이 커널을 사용할수 없다.
이커널을 감싸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우리사용자가 탐색기나 도스창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이 두가지를 OS또는 리눅스, 윈도우라고 한다.
그리고 우리가 키보드로 입력할경우 명령어해석기를 shell(쉘)이라고한다. 윈도우에서는 도스가 있고 리눅스에서 이 쉘을 여러가지를 지원한다. 그중에서 Csh이 있고 bonshell을 다시 만들어서 BASH쉘이다.
C++ VS C 그리고 전역변수 선언시 앞에 static을 선언할경우 다른파일에서 그변수를 사용할수없다.
기본적으로
#include<stdio.h>
struct NODE
{
char Item;
struct NODE *next;
};
int main()
{
struct NODE One;
NODE Two;
return 0;
}
이럴경우 NODE Two 때문에 C에서는 컴파일로 걸린다.
하지만 C++에는 가능하다. ㅎ
함수안에서 static을 넣게 되면 그함수에서만 사용하고 종료할때가지 남아있다.
이것이 C의 유일한 보안기능이다.
그리고 전역변수의 장점~
무엇보다 프로그램종료할때까지 전역변수의 값이 남아있다는것이다.
함수가 호출하고 끝나고 외부라이브러리 호출하고 끝내도 전역변수는 프로그램이 끝날때까지 남아있다.